WEBIS MOBILE PAGE (~767)
WEBIS TABLET PAGE (768~991)
WEBIS DESKTOP PAGE (992~1279)
WEBIS BIG DESKTOP PAGE (1280~)

이를 닦읍시다 ( 충치 예방을 위한 이야기 같지요) > 일반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서브비주얼

일반게시판

  • HOME
  • 참여마당
  • 일반게시판

일반게시판

  • HOME
  • 참여마당
  • 일반게시판

이를 닦읍시다 ( 충치 예방을 위한 이야기 같지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영희
댓글 0건 조회 5,114회 작성일 09-09-24 01:08

본문

초등 국어 교과서 읽기 3-2학기 72~75쪽 읽기쓰기 한글 지도한 것. (2007.06.24) ...............  ......  ................  1 하고 싶은 말 . 글을 읽고, 문단의 중심 내용을 찾아봅시다. .. 모든 글에는 글쓴이의 생각이 담겨 있습니다. 글은 여러 개의 문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문단의 중심 내용을 찾으면 글쓴이의 생각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 문단의 중심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이를 닦읍시다’를 읽어 봅시다. ...............  ......................  이를 닦읍시다   여러분은 이를 잘 닦고 있나요? 물론 잘 닦고 있겠지요. 아침에 늦잠을 자서 시간이 부족하거나 저녁에 피곤해서 얼른 자고 싶더라도 이는 꼭 닦아야 합니다. 이닦기를 게을리하면 어떻게 되는지 잘 알고 있지요? (1)무엇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까? (2)문단의 중심 내용은 무엇입니까? 2. 문단의 중심 내용을 생각하며 ‘이를 닦읍시다’를 계속 읽어 봅시다.   그런데 이 닦기가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 닦는 방법을 잘 모르는 친구가 많은 것 같아요. 이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는 열심히 닦는 것도 중요하지만, 바르게 닦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이를 바르게 닦으려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요?   이는 음식을 먹은 뒤에 곧바로 닦아야 합니다.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닦거나, 음식을 먹고 나서 한참 뒤에 닦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에요. 음식을 먹은 뒤에 입안에 남아 있는 음식 찌꺼기를 닦아 내는 것이 이 닦기입니다.   그리고 칫솔과 치약을 잘 선택하여야 합니다. 칫솔의 솔이 너무 뻣뻣하면 잇몸이 상하고, 너무 부드러우면 이가 잘 닦이지 않기 때문이지요. 치약은 이의 표면을 많이 갈아 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닦을 때에는 칫솔질을 바르게 하여야 합니다. 칫솔질을 너무 세게 하거나 약하게 하여도 좋지 않고, 너무 빨리 끝내거나 너무 오래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칫솔질을 할 때에는 칫솔을 세워서 위아래로 닦아야 하고, 입 안 구석구석을 3분 정도 닦는 것이 좋아요. 특히, 이의 안쪽과 어금니 쪽을 잘 닦아야 합니다. 혓바닥도 칫솔로 닦아 주는 것이 좋지요.    인제 바른 이 닦기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았지요? 튼튼하고 예쁜이를 가지고 싶다면 바른 방법으로 이를 닦읍시다. 3. 각 문단은 무엇에 대하여 말하고 있습니까? 문단의 중심 내용을 찾아봅시다. 4. 각 문단의 중심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글쓴이의 중심 생각을 말하여 봅시다. ............................................................. !@#%^&* - . 다양한 발음변화를 알아보기 1>앞말은 받침이 있고 뒷말은 동그라미 모음 ‘이’ 조사일 경우에 단어들 !생각이, 내용이, 글쓴이, 시간이, 일이, 방법이, 것이, 솔이, 잇몸이, 많이(많다), [생가기, 내용이, 글쓰니, 시가니, 이리, 방버비, 거시, 소리, 인모미, 마니(만타)] 2>앞말에 받침이 있고 뒷말은 동그라미 모음 ‘을’ 조사일 경우에 단어들 !글을, 내용을, 생각을, 늦잠을, 것을, 방법을, 음식을, 눈을, 치약을, 표면을, [그를, 내용을, 생가글, 늗짜믈, 거슬, 방버블, 음시글, 누늘, 치야글, 표며늘, 닦을(닦다), 칫솔질을, 칫솔을, 구석구석을, 쪽을, 다끌(닥따), 칟쏠지를, 칟쏘를, 구석꾸서글, 쪼글] 3>앞말에 받침이 있고 뒷말은 동그라미 모음 ‘은’이 조사일 경우에 단어들 !싶은(싶다), 글은, 여러분은, 내용은, 많은(많다), 먹은(먹다), 좋은(좋다), 문단은, [시픈(십따), 그른, 여러부는, 내용은, 마는(만타), 머근(먹따), 조은(조타), 문다는] 4>앞말에 받침이 없고 뒤에는 자음이 첫 글자로 된 단어들‘가, 를, 는’ ! 가 - 이 닦기가, 친구가, 이가, / 를 - 이를, 닦읍시다를, 닦기를, 찌꺼기를, / 는 - 글에는, 이는, 일이라는, 닦는(닦다), 모르는(모르다), 위해서는, 있는(있다), 내는(내다), 않는(않다), 때에는, 하는(하다), 주는(주다), 5>글자에 ‘의, 에’로 끝날 때 단어들 !문단의, 글에, 개의, 글쓴이의, 아침에, 저녁에, 무엇에, 뒤에, 입안에, 칫솔의, 이의, 방법에, [문다네, 그레, 개에, 글쓰니에, 아치메, 저녀게, 무어세, 뒤에, 이바네, 칟쏘레, 이에, 방버베] 6>받침 관계없이 뒷말에 ‘고, 기, 게, 지’로 끝나는 단어들 !하고, 읽고, 쉽게, 무엇인지, 닦고, 있겠지, 자고, 이닦기, 되는지, 알고, 어떻게, [하고, 일꼬, 쉽께, 무어신지, 닥꼬, 읻께찌, 자고, 이닥끼, 되는지, 알고, 어떠케, 있지, 튼튼하게, 중요하지, 바르게, 먹고, 상하고, 닦이지, 않기, 세게, 약하게, 읻찌, 튼튼하게, 중요하지, 바르게, 먹꼬, 상하고, 다끼지, 안키, 세게, 야카게, 좋지, 않고, 알았지, 말하고, 가지고, 조치, 안코, 아랃찌, 말하고, 가지고] 7>기본형 ‘다’로 끝나는 풀이말들 !찾아봅시다, 있습니다, 닦읍시다, 합니다, 중요하답니다, 입니다, 좋습니다, 않습니다, [차자봅씨다, 읻씀니다, 다끕씨다, 함니다, 중요하담니다, 임니다, 조씀니다, 안씀니다, 8>‘다’로 끝나는 풀이말에 ‘다’를 빼고 ‘ 아, 어’를 넣은 활용단어들 !찾아(찾다), 담겨(담기다, 담기어), 이루어져(이루다지다 지어), 읽어(읽다), [차자(찯따), 담겨(담기다, 담기어), 이루어져(이루다지다 지어), 일거(일따), !닦아(닦다), 하여, 남아(남다), 선택하여, 갈아(갈다), 세워(세우다), 좋아(좋다) [다까(닥따), 하여, 나마(남따), 선태카여, 가라(갈다), 세워(세우다), 조아(조타) 9>‘로, 으로’ 조사로 끝나는 단어들 !문단으로, 있으므로, 곧바로, 위아래로, 칫솔로, 방법으로, 바탕으로, [문다느로, 이쓰므로, 곧빠로, 위아래로, 칟쏠로, 방버브로, 바탕으로] 10>‘과’로 끝나는 단어들과 ‘도’로 끝나는 단어들 !칫솔과, 안쪽과, 싶더라도, 것도, 하여도, 정도, 혓바닥도, [칟쏠과, 안쪽꽈, 십떠라도, 걷또, 하여도, 정도, 혀빠닥또] 11>‘ㄴ, 은’으로 끝나는 단어들에 활용에 익숙하기로 기본형은 ‘다’ !바른(바르다, 발라), 예쁜(예쁘다, 예뻐), 먹은(먹다), 많은(많다), 좋은(좋다) 12> 앞소리는 같고 뒤에 만남에서 달라짐이 크게 느끼는 말들 깨달아 보아요 !닦아, 닦는, 닦기, 안쪽과, 쪽을, 싶다, 싶은, 먹고, 먹은, 좋지, 좋아, 않기, 않는, 않아, [다까, 당는, 닥끼, 안쪽꽈, 쪼글, 십따, 시픈, 먹꼬, 머근, 조치, 조아, 안키, 안는, 아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FLOAT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