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백호해를 맞이하여! (+)
페이지 정보

본문
네티즌님! 어르신님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시각적 글자
[새해 봉 마니 바드세요] - 청각적 소리
저는 늘 끊임없이 글자과 말소리인 발음을 헤아립니다. 학생들에게 받아쓰기 할 때 글자와 말소리에 다름을
설명해 주다보니 저도 모르게 습관처럼 되어진 건 아닐까 생각도 들어요.
받침글자다 아니다도 자꾸 구분하려 들죠.
많다[만타] 기본형이 '많이' 글자로 바뀔 때 '많'받침이 뒤로 옮겨 '이'가 [니]로 바뀌어 소리되지요? 'ㅎ'은 묵음이 되고요.
'ㅎ'은 '다'에 'ㄷ'을 만나면 'ㅌ'으로 거센소리가 된다고도 말했음이 아련히 떠오릅니다.
................................................... 2010년 01월01일 금요일 생각.
..............................오늘 2010. 01. 05. 화요일 경인년 '백호해'를 생각하면서
‘백군, 백전백승, 백년, 백마강, 백인, 백치, 백칠, 백팔, 백호, 백화점’ - 글자 표기
[백꾼, 백쩐백씅, 뱅년, 뱅마강, 배긴, 백치, 백칠, 백팔, 배코, 배카점] - 발음변화
<1>백군, 백전백승 - ‘군, 전, 승’ 글자가 된소리 [꾼, 쩐, 씅]으로 말소리 됨
<2>백년, 백마강 - ‘백’ 받침글자 ㄱ(기역)이 ㅇ(이응)으로 소리되어 [뱅]으로 소리 됨
<3>백인 - 받침 ㄱ(기역)이 뒤로 옮겨 인에 동그라미 없어지고 [긴]으로 소리 됨
<4>백칠, 백팔 - 백 글자 받침에 힘줘도 ‘칠, 팔’ 글자에 소리 변화 없음. 거센소리라서.
<5>백호, 백화점- 백 글자 ㄱ(기역)과 ㅎ(히읗)이 만나 ㅋ(키읔)으로 발음되어 ‘호, 화’ 글자가 [배코, 배콰점]으로 발음됨. 사전 보면서 거센소리된 것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2010. 01. 07 (목)작성...............................
심야에 초등국어사전 보면서 ㄱ(기역)받침이 들어간 단어에 발음부분 변화를 읽어보았어요.
'백군, 백만, 백인, 백칠, 백합'
[백꾼, 뱅만, 배긴, 백칠, 배캅]
'국가, 국내, 국어, 국토, 국화'
[국까, 궁내, 구거, 국토, 구콰]
'각각, 각료, 각오, 각축, 각하'
[각깍, 강뇨, 가고, 각축, 가카]
'복도, 복리, 복어, 복통, 복학'
[복또, 봉니, 보거, 복통, 보칵]
'독도, 독립, 독일, 독창, 독학'
[독또, 동닙, 도길, 독창, 도칵]
'ㄱ'받침이 5가지로 변화가 되어서 1된소리 2울림소리 3연음소리 4변화없음 5거센소리로 이뤄짐을 느껴요.
..................................2010.01.11. (월)작성 ................
암기하려는 글귀가 있지요.
'우리말 받침은 7가지로 소리 납니다'
[우리말 받치믄 일곱가지로 소리 남니다] 7을 [칠가지로]라고는 말소리로 안 됨이 느껴져요.
위 글이 있는 책은 '소망의 나무 4권' 95페이지 맨 밑줄에 큰 글씨로 써 있지요.
암기할 때 아마 3~5회 정도 보며 암기가 맞나? 확인해 보는데 틀리더라고요.
아마 10회 정도에서 암기된 거 같다고 여겨져요. 암기 속도가 느린 나를 발견해요.
발음에 무의식이던 고정관념에 뚜렷한 의식을 집어넣는 일은 기쁜 거 같아요.
1 ㄱ[기역] 2ㄴ[니은~] 3ㄷ[디귿] 4ㄹ[리을~] 5ㅁ[미음~] 6ㅂ[비읍] 7ㅇ[이응~]
자음 예사소리(3) ㄱㄷㅂ 자음 울림소리(4) ㄴㄹㅁㅇ
- 이전글가지고 가는 자는 10.01.06
- 다음글빙판길 꽈당 골병예방법 - 어르신 조심하세요~~ 10.01.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